루스벨트 家의 정신
2차 대전 때~
루스벨트 대통령의 큰아들인 제임스 루스벨트는
안경이 없으면 일생생활이 불가능한 고도 근시에
위궤양으로 위를 절반이나 잘랐으며,
심한 평발이라서 군화를 신을 수조차 없는 사람
이었지만 해병대에 자원입대하여 운동화를 신고
다니면서까지 고된 훈련으로 정평이 나 있던
해병대 제2 기습대대에서 복무했습니다.
제2 기습대대가 마킨 제도의 일본군 기지를 기습
하는 매우 위험한 작전을 앞두고 대대장 칼슨
중령은 부대대장이었던 루스벨트 소령을 불러
'만약 현직대통령의 아들인 귀관이 일본군의
포로가 되거나 전사하거나 하면 일본군은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하며 전쟁에 이용할 것이므로
작전에서 제외 하겠다'고 통보합니다.
그러나 루즈벨트 소령은 이에 강력하게 반발합니다.
이에 난처해진 칼슨 대대장은 태평양함대 사령관인
니미츠 제독에게 소령을 설득해줄 것을 요청하고
대대장과 생각이 같았던 니미츠 제독도 소령을 불러
훈련에는 참가할 수 있지만 작전에는 동행시킬 수
없는 이유를 간곡하게 설명합니다.
그러자 루즈벨트 소령은 대통령 아버지의 '빽'을
동원하는데~
대통령 루스벨트는 해군참모총장 킹 제독에게
'내 아들은 제2 기습대대의 장교다. 내 아들이 위험한
특공작전에 가지 않는다면 누가 그 작전에 가겠는가?'
라 하며 아들 루스벨트 소령을 반드시 마킨 제도
특공작전에 참가시킬 것을 지시 합니다.
그 것이 루스벨트 소령이 2차 대전기간 중 대통령
아버지의 빽(?)을 본 유일한 경우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소령은 소신대로 작전에 참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돌아옵니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네 아들들은 모두 이런 식으로
2차 대전에 참전하였다고 합니다.
제임스 밴 플리트 8군 사령관의 한국사랑
미국의 입장에서 어찌 보면 자신들과는 크게 상관
없었을 한국전쟁에서 그들 스스로도 잘못된 전쟁
이라고 투덜대면서도 모두 139명의 미군장성들의
자제들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그중 35명이 전사
하거나 부상을 당했다고 합니다.
그들 대부분이 평범한 집 자제들과 똑같이 최전선
에서 싸웠으며 특별대우를 받은 경우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 들 중에는 52년 대통령에 당선된 아이젠하워
육군원수의 아들인 아이젠하워 소령과 제3대
유엔군 총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 대장의 아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사람은 바로 한국군 전투력 육성에
지대한 공헌을 한 제임스 밴 플리트 8군 사령관
이라고 합니다.
밴 플리트 대장의 외아들인 밴 플리트 2세는 야간
폭격기 조종사로 작전수행 중 행방불명되고 공군은
장군의 아들을 찾기 위해서 필사의 노력을 다했지만
끝내 시신조차 확인하지 못한 채 실종 파일럿의
정규 수색시간이 끝나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때 밴 플리트 장군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외아들의 실종소식을 듣고도 담담했던 장군은 이제
정규 수색시간은 끝났으니 더 이상의 특별한 수색
이나 구조 활동은 하지 말아달라고 부탁을 합니다.
모든 병사들이 최전선에서 죽음과 싸우고 있는
이 상황에서 내 아들이라고 해서 특별한 대우를
해줘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밴 플리트 대장의
전화 용건이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외아들을 한국전선에서 잃었음에도 불구
하고 장군의 한국사랑은 지극했다고 합니다.
전술 훈련과 체계적인 장교 훈련 프로그램이 미비
했던 때문에 한국군이 전선에서 자주 패배를 당하는
이유를 간파하고 이후 장교들의 미군 참모학교
유학과 훈련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었고 우리 육사의
발전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육사 교정에 밴 플리트 장군의 흉상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전쟁 중 대장으로 전역한 후에도 장군은
전 미국을 돌면서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대한민국의
전쟁고아들을 돕기 위한 모금활동 연설에 나서는 등
한국을 돕기 위해 그 어느 한국전 참전 장군들보다
많은 일을 했다고 합니다.
오늘날 한미우호 관계에 공헌이 큰 사람에게 주는
상의 이름이 밴 플리트 상인 이유는 외아들을 잃고도
한국 사랑을 멈추지 않았던 장군의 마음과 그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을 기리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다민족으로 구성된 나라 미국~
왜 이렇게 강한지 알만한 이야기들이라 하겠습니다.
공과 사를 구분을 할지 알고, 특히 사를 위해서는
그 어떤 권력도 행하지 않는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위대한 정신!!
그런 정신들이 모여 오늘날 세계 최강의 미국을
만들었다는 생각을 합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원래 노블리스는 '닭의 벼슬'을 의미하고 오블리제는
'달걀의 노른자'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닭의 사명이 자기의 벼슬을 자랑함에 있지 않고 알을
낳는데 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 말은 이제 사회 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사회로부터 정당한 대접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리는 명예(노블리스)만큼 의무(오블리제)를
다 해야 한다는 의미라는 것입니다.
로마 귀족의 절제된 행동과 납세의 의무를 다하는
모범적 생활은...
평민들에게 귀감을 주며 국가천년을 지탱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며...
또 그들은 전쟁이 일어나자 국가에 사재를 헌납하고
솔선수범하여 전장에 나가 피를 흘리며 싸우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전쟁이 나면 귀족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싸움터에
앞장서서 나가는 기사도 정신도 여기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는 것이죠.
고대 로마에서는 병역의 의무가 지도층을 중심으로
부과되어 있었고, 서민층은 오히려 병역의 의무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 정신이 이어지고 있어서 그런지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전쟁 시...
영국의 왕자 엔드류는 헬기 조종사로 전쟁에 참여
하여 많은 사람을 대신하여 죽을 수 있다는 지도층의
책임감을 보여주었습니다.
미국 부자들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 또한 미국을
지탱하게 하는 전통적 정신임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부시정부의 상속세 폐지안에 대하여...
전 미국의 부유층들이 폐지 방안에 제동을 걸고
나서며 미국의 기부문화와 부의 편중이 심해질 것을
우려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한마디로 사회의 지도층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사회에 대해서 일정정도 이바지해야 할 무엇인가가
있다는 것을 그들은 스스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선진국의 노블리스들은 공동체를 알았고
나눔과 희생을 통해 사회적 존경과 가치를 인정
받아오고 있는 것입니다.
(회사의 조훈부장님이 보내주신 글 중 일부입니다)
카페지기 김승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