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이 남시보(조선 명종.선조 때의 학자)에게 답함 글 중에서 발췌
마음의 병은 세상의 이치를 바르게 살피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부질없이 꼬치꼬치 캐어서 억지로 이치를 찿으려 하거나, 어리석은 마음으로 "싹을 억지로 잡아당겨 성장을 도우려" 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를 괴롭히게 도고 기운을 소진하게 됩니다. 이는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병통(病痛)이기도 합니다. 회옹(주자) 선생 같은 분도 처음에는 이런 병통이 있었습니다. 이 점을 미리 깨달아 멀리 할 수 있다면 근심할 일도 생기지 않겠지요. 그러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병이 생겨납니다. 내 평생의 병줄도 다 여기에 있습니다.
병을 치료하려면 무엇보다 마음에 괴로움을 만들지 많아야 합니다. (중략) 곤궁함, 출세, 이득, 상실, 명예, 치욕, 이익, 손해 등 모든 것을 너무 깊이 마음에 담아두지 마세요. 이처럼 담아두지 않는 마음을 지니게 되면, 병통의 절반 이상은 이미 나은 바와 다름 없습니다.(중략)
책을 읽되, 마음을 괴롭힐 정도로 심하게 읽지는 마세요. 무조건 많이 읽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마음 가는 대로 공부의 맛을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이치의 깨달음도 날마다의 평범함 생활 속에서 분명히 간파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거기에 숙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미 알고 있는 것에서 즐거이 음미하세요. 그리하여 마음에 두는 것도 아니요, 두지 않는 것도 아닌 상태에서 공부를 잊지 않아야 합니다. 그렇게 꾸준히 계속해 나가면 저절로 자세한 이해가 따라오게 될 것이며 얻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학문에 지나치게 매달리거나 조급하게 공부의 효과를 보려고 마음을 얽매어서는 안 됩니다.
출처 : 《함양과 체찰》(신창호 지음, 미다스북스 펴냄, p.86~87)
여기서 "싹을 억지로 잡아당겨 성장을 도우려"는 알묘조장(揠苗助長)으로 『맹자(孟子)』의 「공손추장구 상(公孫丑章句 上)」에 나오는 고사성어이다. 송나라 사람이 곡식이 빨라 자라나도록 하기 위해 그 싹을 뽑아올려 주었는데 다음 날 싹이 모두 말라 죽었다는 고사로서 지나치게 억지로 서둘러서 일을 성취하려고 무리하게 하면 실패하게 된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김승훈
'김승훈의 자기계발 이야기 > 고전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무제(漢武帝)의 추풍사(秋風辭) (0) | 2023.11.06 |
---|---|
함양과 체찰 1독하다. (0) | 2023.09.26 |
위대한 인물의 업적을 평가하는 말 '삼불후(三不朽)' (0) | 2023.09.19 |
퇴계 이황이 자신이 관직을 수행할 수 없다고 호소한 다섯 가지 이유 (0) | 2023.09.17 |
서로가 다들 잘났다고 뽐내는 세상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