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 "學而不思罔(학이불사즉망), 思而不學則殆(사이불학즉태)"

공자가 말하였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음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이에 대해 주자는 "그 일을 배우고, 그 도리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고

주자의 주석(朱註)에서는

"마음에서 구하지 않기 때문에 혼미하여 얻음이 없고,

그 일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위태로워 불안하다."고 했다.(p.114)

 

정자(程子)는 주자의 주석(朱註) 해설서에서

"博學·審問·愼思·明辯·篤行, 五者廢其一, 非學也."

"박학( 博學 : 널리 배움)·심문(審問 : 깊이 물어봄)·

신사(愼思 : 신중하게 생각함)·명변(明辯 : 분명하게 변별함)·

독행(篤行 : 독실하게 실행함), 이 다섯 가지 가음데 하나만

폐지하여도 배움이 아니다.) 라고 했다.(p.115)

 

출처 : 《논어집주상설2》(호산 박문호 저, 책임약주[주저자] 신창호,

박영story 펴냄, p.114)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에서 <사내근로복지기금 결산실무>

도서 개정판 작업과 사내근로복지기금 결산컨설팅을 하면서

다시 원전을 확인하려고 《논어집주상설2》를 펼쳐보니 새롭다.

그렇지, 널리 배우고, 깊이 물어보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하게 변별하고, 독싷하게 실행하는 것, 이것이 배움이지.

 

배움은 끝이없구나!

오늘도 하나를 깨우치고 간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서경」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을 알아보는 일은 사리를 밝히는

작업과 통하므로, 인재를 등용하는 기초가 된다." 어떤 사람을

등용하여 관직을 주려면, 반드시 먼저 그 사람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사람 알아보는 일은 최고 지도자인 군주에게는

무엇보다도 큰일이다.(중략)(p.98)

 

그러나 사람 가운데 속마음과 겉모습이 서로 부합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말을 들어보면 정직한 것 같지만 마음을 살펴보면

거짓으로 꾸미고, 외모를 살펴보면 비른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을 돌아보면 속임수로 가득찬 사람도 있다. 겉으로는

부드럽고 약한 것 같지만 의지가 굳센 사람도 있고, 자질은

무딘 듯하나 행동은 재빠른 사람도 있다. 이처럼 사람은 그

변함이 온갖 형태로 드러나므로 그것을 일일이 다 파악하기가

어렵다.(p.100)

 

때문에 옛날부터 어떤 제왕이건 현명한 사람을 등용하여

직무를 맡기려 했고 사특한 자를 물리치며 멀리하고자 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게 하려고 해도 때로는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이 한 곳에 있고 바른 사람과 그른 사람이 뒤섞여 나라를

어지럽히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충실하고 양심있는 사람은

원수처럼 미워하고, 간악하고 아부하는 사람을 너무 믿은

나머지 지도자가 그들을 몸소 통솔하고 감독해 가다가

복철(覆轍)을 밟는 일도 잦다. 이 얼마나 개탄스런 일인가!

(p.100)

 

출처 : 《정조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정조 지음, 신창호 옮김,

판미동 펴냄)

 

조선의 개혁군주인 정조가 사람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재적소에

그를 등용하는 대책을 물은 책문 중 일부 내용이다.

정조가 유능한 인재를 찾고 등용하기 위해 고심하는 것을

책문 곳곳에서 읽을 수 있다.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대한민국은 지금 난세라고 했다.

난세를 극복하는 길은 결국 인재에 달려있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요임금과 순임금의 16자 심법(心法)인

"인심유위(人心有危) 도심유미(道心惟微) 유정유일(惟精惟一)

 윤집궐중(允執厥中)"이 경전 속에서 반짝이고 있다.

"사람의 마음은 욕망으로 빠지기 쉬워서 위태롭고,

올바른 우주자연의 마음은 있는 그대로 은미하게 숨겨져 있다.

오직 그 알짜배기를 하나로 꿰뚫고, 그 마음을 잡아라."

나는 대궐 안에 살면서 이16자 심법의 핵심을 제대로 공부하지

못했다. 주나라 때의 문왕과 무왕의  아름다운 정치가 여러

경전에 전해 오고 있으니 그것을 그대로 시행한다고 하여

신속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없다. 그러기에 나는 고민하며,

깊은 벼랑에라도 떨어진 듯이 밤낮으로 근심한다.

어떻게 하면, 비파를 연주하기 전에 그 줄을 조율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하는 일마다

구차하다는 비판의 소리를 없앨 수 있으며, 잘못된 인사 문제를

바로잡고 쇠퇴해가는 기운을 만회할 수 있겠는가?

아! 그대 학자들, 관료들이여! 국가 정치의 안정과 혼란의

사례를 자세히 조사하여 자료로 제시해 주시라.(p.22)

 

책문은 쉽게 말하면 최고지도자가 학자와 관리, 예비관리 등

여러 신하들을 상대로 국가의 정책에 관한 질문을 하며

대책을 요청하는 공론장이다.(p.6)

 

출처 : 《정조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정조 지음, 신창호 옮김, 판미동 펴냄)

 

조선의 위대한 개혁군주인 정조의 78가지 질문 중

첫번째인 '정치적 안정과 혼란은 어디에서 오는가?'에

있는 글이다. 문장 하나 하나에 밑줄을 치며 읽어내려간다.

지금 비상계엄으로 혼미한 정국에 이런 정조대왕 같은 분을

지금 우리나라 대통령으로 모실 수 있다면?????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어제 저녁 7시부터 시작되는 <사마천 사기>를 공부하러

수운회관에 가면서 지하철 3호선 내에서 387페이지의

《천하를 얻은 글재주》(류소천(劉小川) 지음, 박성희 옮김,

북스넛 펴냄)를 1차 완독했다.

 

2024년 10월 30일에 1독을 시작한 이후 내 본업인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 기금실무자 교육과

사내근로복지기금 컨설팅, 사내근로복지기금 결산실무

도서 집필 속에서도 매일 몇 페이지씩 시간을 내어

꾸준히 읽었더니 68일만에 드디어 완독했다.

 

사람들은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았을때 갖가지 핑계를

대며 그 책임을 외부로 돌린다.

"바빠서요"

"시간이 없어서"  

"사람들이 도와주지 않아서요"

"돈이 없어서요....."

 

그 원인을 분석해보면 결국은 본인 책임이다.

1년 365일, 하루 24시가 계속 바쁠 수는 없지 않는가?

시간을 우선순위를 정해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사람들에게 내가 하는 일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협조해달라고 미리 양해를 구했는가?

새상에는 공짜가 없다. 그들이 내 일에 협조를 해주었을 때

그들에게 돌아갈 유무형의 혜택에 대해 말을 해주었는가?  

돈이 없으면 몸으로 댓가를 치러야 한다.

 

세상에 믿을 사람은 오직 나뿐이다.

내가 주도적으로 내 인생 플랜을 짜고 내가 능력과 자본이

부족할 때는 미리 주변에 협조를 구하면서 서로 협업을

하면서 나를 키워가는 것이다.

 

결국은 인생은 열정과 도전으로 꾸준하게 살아가는

과정이다. 멈추지 않는 것이다. 멈추지 않고 살아가다

보면 언젠가는 목표에 도달한다. 사람들은 이것을

성공이라 부른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유유자적()의 삶은 누구나 동경하지만 아무나 실천할 수 있는 경지는 아니다. 넉넉한 도량을 가져야만 즐길 수 있는 게 여유라는 점에서 우리는 고대 문인들에게 한참을 배워야 하다. 그들은 자연을 품고 때론 자연에 기대며 음풍농월()하는 맛과 멋을 잘 알고 또 실천했지만, 요즘의 우리는 도무지 그런 걸 기대할 수가 없다.

여유를 모른다고 탓만 할 수도 없는게 또 현실이다. 휘몰아치는 경쟁 속에서 어느새 여유는 도태나 패배의 동의어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어쩌다 여유로운 시간이 주어지더라도 늘 전전긍긍하는 일상과 마주치다보니 오히려 '여유 갖기'가 더 어려운 지경이 되어버렸다.

어디 그뿐인가? 자본주의 시장체제는 '여유'도 한낱 소비해야 할 상품으로 둔갑시켰다. 돈이 있어야 여유를 살 수 있는 참으로 서글픈 현실이 된 것이다. 물론 우리의 '소비 강박증'도 한 몫 한다. 소비하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많음에도 우리는 늘 돈타령을 하며 그 소중한 시간을 무료와 싸우며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출처 : 《천하를 얻은 글재주》(류소천(劉小川) 지음, 박성희 옮김, 북스넛 펴냄, p.354~355)

 

오늘 읽은 책 중에서 가장 격함 공감이 느껴지는 글이다.

여유롭게, 유유자적하며 살리라 생각하면서도 실천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가 유유자적하며 살명 왠지 모르게 삶의 도태자나

패배자가 될 것 같은 기분이 들기 때문이었다.

이는 곧 자신감 결여였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어디선가 독서하기 가장 좋은 장소로 세 군데를 꼽은 것을  

읽은 적이 있는데 지하철, 화장실, 잠자기 전 침대였다.

그만큼 몰입도가 높다는 말이다.

 

나도 지하철을 이동할 때는 손에 꼭 책을 들고 다니며 읽는다.

오늘도 학동역에서 산본역을 가고 오면서 《신경 끄기 연습》

(나이토 요시히토 지음, 김한나 옮김, 유노책주 펴냄)

241페이지 책을 완독했다. 두 시간 동안 완독한 것이다.

 

역시 지하철이 독서하기는 딱인 장소이다.

연말연시 정국이나 마음이 어수선할 때 일부러라도 하루

한 시간씩 시간을 내어 책을 읽으려 한다. 

내가 지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에서 교육과 컨설팅을

하는 기획력과 창의력의 원천은 독서라고 생각한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어제에 이어 국내 주식시장은 폭락하고 있다.

코스피가 낮에 2400이 무너졌다가 후반장에 겨우

2400을 회복했다.

위기는 곧 기회이기도 하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내 본업에 집중하자.

 

《주역》 명이(明夷)괘에서는

明夷는 리간정(利艱貞)이라고 했다.

명이는 '어렵다해도 바르게 해야 이롭다'는 뜻이다.

 

明夷는 밝음이 상한다는 뜻이니 해가 땅 속으로

들어가고 올바른 것들이 해를 입는다는 뜻이다.

《논어》의 「미자(微子)」 편에 '기자지정(箕子之貞)'이

나온다. 은나라 말기 기자가 밝음을 상하여 바름을

지켰다는 말이다. 미자(微子)는 주왕의 폭정을

간하다가 주왕이 말을 듣지 않자 은나라를 떠나서

목숨을 건졌다. 비간(比干)은 계속 간하다가

죽임을 당했고, 기자(箕子)는 주왕의 잘못을 간하다

종이 되었으니 미친척 미치광이 노릇을 하여 화를

면했다.

 

이런 암군을 만났거나 난국에는 몸을 숨기고 조용히

실력을 쌓는 길이 최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재테크를 잘하여 경제적인

자유를 얻는 것이 급선무라는 생각이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 (www.sgbok.co.kr)

(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사마천이 친구 임안에게 보낸 편지 내용 중에

 

人固有一死(인고유일사, 사람은 누구나 한번은 죽지만)

或重於泰山(혹중어태산, 때로 어떤 죽음은 태산보다 무겁고)

或輕於鴻毛(혹중어홍모, 때로 어떤 죽음은 깃털보다 가볍다)

 

출처 : 《천하를 얻은 글재주》(劉小川 지음, 박성희 옮김,

북스넛 펴냄, p.65)

 

한무제 유철은 기원전 87년에, 사마천은 그 이듬해인

기원전 86년에 죽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죽음 이후 두 사람에 대한 평가는

너무나도 달랐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사마천에게는 호수(壺遂)와 임안(任安)이라는 절친한

친구 두 명이 있었다고 하며 이들은 이따끔씩 함께

잔을 기울이며 학문과 국사를 논하곤 했다고 한다.

 

사마천이 기원전 96년, 태시 원년 그의 나이 50세에

익주자사인 친구 임안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다.

"나도 부끄러운 처지에 있다. 하지만, 요즈음 스스로

무능한 붓에 의지하여, 세상의 흐트러진 구문(이전에

기행하며 들은 소문이나 애기들)을 망라해 본다.

그 사실을 연구하며 정돈하고, 그 시종을 통합하며,

그 흥망성쇠의 이치를 고찰하여, 위로는 헌원으로부터

아래로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본기12, ·10,

세가30, 열전70, 130편을 만들었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고(究天人之際),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꿰뚫어보며( 通古今之變),

하나의 학설을 이루려고 했습니다(成一家之言)!"

 

나는 사마천의 치열했던 삶을 자신이 스스로 쓴

이 세 문장으로 압축했다고 생각한다.

究天人之際(구천인지제) 자연과 인간이 관계를 탐구하고

通古今之變(통고금지변)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꿰뚫어보며 

成一家之言 (성일가지언) 하나의 학설을 이루려고 했습니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어제 여의도 목고박치과를 다녀오는 길에

신논현역에 내려 올 가을에 읽을 책 6권을 구입했다.

요즘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 기금실무자 교육과

사내근로복지기금설립컨설팅을 병행하는 바쁜

일정 속에서도 매주 월요일 수운회관으로 가서

두 시간 동안 고려대 신창호 교수님에게 《주역》,

《노자 도덕경》에 이어 《사마천 사기》를 공부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思想史로 본 중국왕조사》

(이동연 지음, 창해 펴냄)를 읽고 있다.

 

이번에 구입한 책은 다음과 같다.

1. 《사마천 평전》(장다커 지음, 장세후 옮김, 연암서가 펴냄)

2. 《시경(을유세계사상고전 시리즈)》(정상홍 옮김,

을유문회사 펴냄)

3. 《근사록(동양학총서)》(朱熹·呂組謙 지음,

정영호 주해, 자유문고 펴냄)

4. 《서경(신선명문동양고전대계7)》(김학주 譯著,

명문당 펴냄)

5. 《승자독식사회》(로버트 H. 프랭크, 필립 J. 쿡 지음,

조용빈 옮김, 서삼독 펴냄)

6. 《거인들은 주역에서 답을 찾는다》(오구라 고이치 지음,

류희 옮김, 김승호 감수,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요즘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하고 낮은 화창하다.

바야흐로 지식을 살찌울 수 있는 독서의 계절이다.

논어, 맹자, 대학, 주역, 도덕경에 이어 유교의

경전 사서사경인 시경과 서경, 중용, 춘추를 차례로

탐독하며 중국을 지배하고 있는 유교와 도교를

이해하려 한다.

 

김승훈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장(제1호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경영학박사)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경영학박사(대한민국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제1호) KBS사내근로복지기금 21년, 32년째 사내근로복지기금 한 우물을 판 최고 전문가! 고용노동부장관 표창 4회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를 통해 기금실무자교육, 도서집필, 사내근로복지기금컨설팅 및 연간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기업복지의 허브를 만들어간다!!! 기금설립 10만개, 기금박물관, 연구소 사옥마련, 기금제도 수출을 꿈꾼다.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