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굿바이! 잡 스트레스

제1부 스트레스란?

1. 스트레스 용어 정의
- "팽팽하게 조이다"라는 뜻의 라틴어 Stringere에서 유래
- 정신적 압박감, 신체적 긴장, 정서적 불안, 불안정한 행동을 유발함
- 1954년 캐나다 의사 한스 셀리가 처음 사용
- "만병의 근원", "조용한 살인자"로 불린다.

2. 스트레스란?
- 지금 자기에게 부과된 요구수준과 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 간에 어떤 불균형을 지각할 때 일어나는 생리적 심리적 반응으로 위기 상황에 대한 방어체계이다.


제2부 스트레스와 반응

1. 신체 반응
- 눈 : 동공확대
- 심장 : 심장박동의 증가/혈압상승
- 위 : 소화억제
- 근육 : 혈액의 추가 공급/고조된 긴장
- 폐 : 호흡이 빨라짐
- 손 : 땀의 증가/사지에 피의 공급이 줄어듦, 손이 차가워짐

2. 심리적 반응
- 지적 수행능력 손상
- 과제 수행능력 손상
- 불안, 분노
- 우울 및 무감각


제3부 스트레스와 업무수행관계

1. 스트레스와 업무수행관계
- 적절한 스트레스는 나를 강하게 만들고, 일을 잘하게 만든다.
- 지나치게 줄이고 없으면 새로운 일에 도전해라

2. 직무 스트레스 6가지 요인
- 하나, 부적절성(능력에 맞는 업무가 부여되어야 한다)
- 둘, 모호성(지시가 명확하지 않다. 평가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 셋, 과부하(일이 너무 많다. 시간에 쫓긴다)
- 넷, 책임감(필요이상의 책임감을 느낀다. 다른 사람의 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 다섯, 역할 갈등(두 가지 역할 기대가 충돌한다. 내가 생각하는 역할과 상사 또는 조직이 생각하고 기대하는 역할이 다르다)
- 여섯, 물리적환경(직장의 물리적 환경, 온도.습도.먼지.소음 등)


제4부  스트레스 대처훈련

1. 스트레스 요소와 대처
- 조직은 개인보다 바꾸기 어렵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조직이 바뀌기를 기다리는 시간에 개인은 그 조직을 떠날 수도 있고, 스트레스로 망가질 수 있다.
- 직무의 환경과는 상관없이 개인은 살아야 하고, 행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왜냐하면 개인의 상태는 고객과 조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스트레스 관리란 그 원인이 어디에 있든지 간에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과도한 스트레스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에너지를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자기경영기술을 의미한다.

2. 4가지 신체적 대처방법
- 하나, 좋은 음식(단백질, 비타민C, 지방산, 칼슘) 섭취
- 둘, 호흡
- 셋, 운동[운동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두뇌 무게는 1.4킬로그램이지만 몸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25%를 소모한다), 운동을 하면 자신감이 생긴다, 운동을 하면 우리 몸의 부정적인 감정을 억눌러 놓는다]
- 넷, 이완(눈, 몸의 이완)

3. 정서 조절
- 하나, 정서의 표현 및 지지(내 마음을 이해해주는 사람에게 표현해라)
- 둘, 글로 쓰기
- 셋, 긍정적 재해석(찿다보면 긍정적 측면이 있다)


제5부 통제감

- 통제감은 자신감이며 예측할 수 이ㅛ는 능력이다.
1. 내적통제 : 내안에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있다. 실패든 성공이든 나로부터 출발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내적통제력이 강한 사람이며 스트레스를 잘 견디는 사람이다.

2. 외적통제 :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이 밖에 있다. 실패나 스트레스 원인이 외부환경이라고 생각한다.


제6부 삶의 습관 만들기

- 스트레스 대처 훈련의 반복만이 변화를 일으킨다.

김승훈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경영학박사(대한민국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제1호) KBS사내근로복지기금 21년, 30년째 사내근로복지기금 한 우물을 판 최고 전문가! 고용노동부장관 표창 4회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를 통해 기금실무자교육, 도서집필, 사내근로복지기금컨설팅 및 연간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기업복지의 허브를 만들어간다!!! 기금설립 10만개, 기금박물관, 연구소 사옥마련, 기금제도 수출을 꿈꾼다.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