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연령대별 인구구조변화
- 우리나라의 0∼14세 인구는 16.2%에서 2050년 8.9%로 절반가량 축소될 것으로 전망
-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11.0%에서 38.2%로 3배 이상 급증
- 세계평균과 비교시 15세 미만인구는 2010년 기준 26.9%에서 2050년은 19.6%로 전망(우리나라와는 10%포인트 이상 격차가 발생). 65세 이상인구의 경우 세계평균은 2010년 7.6%, 2050년은 16.2%(우리나라가 2%포인트 격차가 각각 발생)
- 15세미만 인구가 줄고 65세이상인구가 늘면서 중위(평균)연령도 높아짐. 2009년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median age)은 28.9세이며 2050년은 38.4세로 2009년보다 9.5세 높아질 전망
- 우리나라는 2009년 중위연령은 37.3세로 세계 평균보다 10세 가량 높고 2050년은 56.7세로 아시아(40.2세), 선진국(45.6세)보다 더 높을 것으로 전망
- 세계의 합계출산율은 2005~2010년 기간 중 연평균 2.56명으로 1970~1975년의 합계출산율 4.32명보다 1.76명이 감소.
- 같은 기간 개도국의 합계출산율은 2.73명으로 선진국 1.64명보다 1.09명 높음.
-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13명으로 유럽(1.50명)이나 선진국(1.64명)보다 낮은 수준.
- 이에 따라 2050년 우리나라의 인구는 4234만3000명 정도로 추정돼 2009년(4874만7000명) 대비 13.1% 감소할 것으로 전망. 감소폭은 OECD 국가 중 일본(-20.1%), 폴란드(-15.9%), 독일(-14.2%)에 이어 4위에 해당
- 우리나라의 0∼14세 인구는 16.2%에서 2050년 8.9%로 절반가량 축소될 것으로 전망
-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11.0%에서 38.2%로 3배 이상 급증
- 15세미만 인구가 줄고 65세이상인구가 늘면서 중위(평균)연령도 높아짐. 2009년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median age)은 28.9세이며 2050년은 38.4세로 2009년보다 9.5세 높아질 전망
- 우리나라는 2009년 중위연령은 37.3세로 세계 평균보다 10세 가량 높고 2050년은 56.7세로 아시아(40.2세), 선진국(45.6세)보다 더 높을 것으로 전망
- 세계의 합계출산율은 2005~2010년 기간 중 연평균 2.56명으로 1970~1975년의 합계출산율 4.32명보다 1.76명이 감소.
- 같은 기간 개도국의 합계출산율은 2.73명으로 선진국 1.64명보다 1.09명 높음.
-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13명으로 유럽(1.50명)이나 선진국(1.64명)보다 낮은 수준.
- 이에 따라 2050년 우리나라의 인구는 4234만3000명 정도로 추정돼 2009년(4874만7000명) 대비 13.1% 감소할 것으로 전망. 감소폭은 OECD 국가 중 일본(-20.1%), 폴란드(-15.9%), 독일(-14.2%)에 이어 4위에 해당
'미래사회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년 중국 GDP 일본의 4배 예상" (0) | 2010.05.29 |
---|---|
早老 한국… 20년후 4대 노인국으로 전락 예상 (0) | 2010.05.14 |
미혼직장인 14% "결혼해도 아이 안 낳겠다" (0) | 2010.04.26 |
2050년, 한국은 ‘노인의 나라’…100명 中 13명 ‘80세이상’ (0) | 2010.04.05 |
미래학자 제임스 데이터 연합뉴스와 이메일 인터뷰 (0) | 201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