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들에서 새로운 복지제도가 만들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노동조합이나 기타 근로자를 대표하는 기구의 요구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복지제도를 들여다보면 그래도 노동조합이 있는 회사가 없는 회사보다는 더 나은 경우를 많이 목격할 수 있다. 아무래도 우는 아이부터 젖을 주는 격이 아닐까? 노동조합이 강력한 경우는 더욱 더 절대적인 입김을 발휘한다.

둘째는 회사가 자발적으로 챙겨주는 경우이다.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나 중소기업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게는 경쟁사가 이미 실시하는 복지제도 이거나 그룹사간 같은 그룹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지역내 유사한 업종 내지는 인근 회사들에게서 이미 실시하는 제도인 경우 인력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셋째는 HR이나 인사총무 담당자가 동종업계나 관련 업계의 복리후생 실태를 조사하여 지나치게 열악할 경우, 또는 선호도가 높은 항목을 한두개 조사하여 관철시키는 경우이다. 이 때는 담당자나 부서장이 CEO로부터 신뢰를 많이 받는 경우 유리하고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기업에서는 새로운 복지후생제도 도입하거나 기존 복제제도를 업그레이드 시킬 경우에는 공히 주머니 사정부터 따진다. 회사 경영여건이 좋을 경우에는 그런대로 일부는 반영이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회사도 어려운데 돈을 써서 회사를 더 어렵게 만들고 손익을 더 악화시키려고 그러느냐고 정신이 똑바로 박힌 사람이냐고 야단을 맞기 십상이다.

기업복지제도를 신설하거나 기존 제도를 업그레이드하고자 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종업원들의 만족도이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종업원들이 어느 복지제도를 가장 선호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알아보는 방법은 면접과 설문조사가 있는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조사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설문조사 방법으로는 전수조사를 할 것인지, 표본조사를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전체를 조사하면 당연히 정확도는 높지만 효율성이 떨어진다. 지역별, 연령대 및 성별, 결혼 여부 등 대상자별로 알고자 하는 설문항목을 잘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종업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복지제도를 도입하는 경우는 그다지 많이 보지 못했다. 아직도 우리나라 기업복지제도가 후진성을 못 벗어나는 이유가 바로 종업원의 편의가 아닌 회사 편의에 의해서 기업복지제도를 만들고 도입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카페지기 김승훈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경영학박사(대한민국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제1호) KBS사내근로복지기금 21년, 32년째 사내근로복지기금 한 우물을 판 최고 전문가! 고용노동부장관 표창 4회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를 통해 기금실무자교육, 도서집필, 사내근로복지기금컨설팅 및 연간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기업복지의 허브를 만들어간다!!! 기금설립 10만개, 기금박물관, 연구소 사옥마련, 기금제도 수출을 꿈꾼다.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