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는 고용 한파와,

기업들의 보이지 않는 구조조정을 보면서 '고용이 최대의 복지다'

라는 말을 실감하게 된다.

 

3월에 회사를 퇴직한 사람들의 실업수당 청구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코로나19 위기가 수그러들지 않는 한 

4월과 5월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자본주의에서 수익을 최우선으로 추구해야 하는 기업들로서는

이러한 위기 국면에서 위기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여 몸집을 줄여

훗날 호황에 대비하려는 '창조적 파괴자' 본능을 최대한 활용하려 한다.

불필요한 군살을 도려낸 후 몸집이 가벼워야 비용이 절감되어

오래 버틸 수 있고 위기 상황에서 민첩하게 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 경영계에서 이야기하는 '애자일 조직'과도 부합된다.

 

아무리 본인이 회사에서 버티려고 애를 해도 회사가 부서 이동이나,

본인 업무와 무관한 엉뚱한 부서로 발령을 내면 십 중 팔구는

회사를 그만둘 수 밖에 없다. 명예퇴직이나 희망퇴직 절차를 밟아

추가로 수당을 챙겨주는 회사는 그나마 다행이고 대부분 회사들은

추가적인 수당도 주지 않고 일반퇴직으로 그만두게 만든다.

 

이렇게 떠밀려 회사를 그만두게 되면, 고정수입이 끊기고

근속 기간에 따라 몇개월치 받는 실업수당이 고작이다.

회사를 퇴직하면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해주던 4대보험은

설상가상으로 이제는 고스란히 본인 부담으로 바뀌게 된다.

비로소 회사에서 때가 되면 꼬박꼬박 월급을 받던 시절이

호시절이었고 그때가 좋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해야 생계를 유지하고

사람은 건강이 허락된다면 일을 해야 수입을 늘릴 수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창업이냐, 재취업이냐 두 갈래 길이다.

자금이 두둑하고, 창업할 수 있는 아이템이 괜찮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제는 기약할 수 없는 재취업의 길고도 지루한

전쟁이 시작된다.

 

이 단계가 되면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회사를 다닐 때 왜 자신이

자기계발을 해두지 않았나, 비상시 대책을 세워두지 않고

회사만 믿고 너무도 안이하게 살았는지 때 늦은 후회를 하게 되지만

이미 때는 지나갔다. 냉혹한 현실은 인정사정 없다.

 

김승훈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경영학박사(대한민국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제1호) KBS사내근로복지기금 21년, 32년째 사내근로복지기금 한 우물을 판 최고 전문가! 고용노동부장관 표창 4회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를 통해 기금실무자교육, 도서집필, 사내근로복지기금컨설팅 및 연간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기업복지의 허브를 만들어간다!!! 기금설립 10만개, 기금박물관, 연구소 사옥마련, 기금제도 수출을 꿈꾼다.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