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사람들의 인생에서 가장 돈이 많이들어가는 시기를 꼽으라면 40대 후반

에서 50대에 이르는 기간을 꼽을 것이다. 노후준비, 부모공양 등 여러가지

있지만 가장 큰 주범은 역시 자녀들의 학자금이다. 이 시기는 자녀들이 대학

에 입학하여 다니는 시기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40대 초반이면 기업에서는 근로자들에게 명예퇴직이나 인력구조조정이 본

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여서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녀 교육열이 유별나다.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가 IT나

의학, 조선, 자동차 등 첨단산업에서 앞서나가는 이유도 자녀 교육열이 큰

몫을 하였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에 따르면 OECD 선진국 주요국가의 대학진학률 중 우리

나라는 79%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미국은 64%, 영국은 57%, 일

본 48%, 스위스 38%, 독일은 36%로서 OECD 평균 56%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이 이렇게 높은 이유는 학력차별과 사회적인 편견이

자리잡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죽하면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맞선도

보기 힘들다는 우스개 이야기가 생겨났을까? 이렇게 기를 쓰고 대학에 가

려는 또 다른 이유는 임금격차를 들 수 있을 것이다. 2011년 보도자료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대졸·고줄 임금격차는  고졸임금을 100으로 볼 때

리나라는 미국 172에 이어 2위인 160이다. 이어 영국이 157, 프랑스

150, 일본과 핀란드가 각각 148, 캐나다는 142 등이다.

 

문제는 대학 4년이 4년으로 끝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요즘은 군복무에

해외 어학연수 1~2년에 각종 자격증 취득과 스펙을 쌓느라고 3~4년이 늦

어지는 것은 보통이다. 게다가 경기가 좋지않아 취업난까지 겹치니 졸업을

하면 취업이 힘들어져 취업이 될 때까지 휴학을 하는 경우들이 많아지는 추

세이니 어떤 경우는 의대나 수의대가 아닌데도 입학 후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졸업을 하지 못해 회사의 대학학자금 강제 상환기간에 걸려 상환을 해

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녀가 대학을 다니고 있으면 학비 이외에 교재비와 학원비, 용돈은 고스

히  부모의 몫이 된다.

 

카페지기 김승훈

Posted by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경영학박사(대한민국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제1호) KBS사내근로복지기금 21년, 32년째 사내근로복지기금 한 우물을 판 최고 전문가! 고용노동부장관 표창 4회 사내근로복지기금연구소를 통해 기금실무자교육, 도서집필, 사내근로복지기금컨설팅 및 연간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사내근로복지기금과 기업복지의 허브를 만들어간다!!! 기금설립 10만개, 기금박물관, 연구소 사옥마련, 기금제도 수출을 꿈꾼다.
사내근로복지기금박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