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모 중앙일간지에 한국심리학회가 처음으로 한국인 맞춤형 행복지수를 개발했다는 보도기사가 실렸는데 행복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가장 대조를 이룬 부분이 40대로서 40대남자는 다른 집단과 비교할 때 개인적 측면(자신의 성취.성격.건강)은 물론 사회적 측면(인간관계.소속집단관계)에서 모두 만족수준이 낮았습니다. "삶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였는데 그 원인은 '경제적인 문제'와 '일 또는 업무' 에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40대 여성은 '가장 높은 행복감'을 나타냈는데 40대 여성들은 자녀가 어느정도 성장하여 가사와 육아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조사팀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긍정적 정서표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는데 '긍정적 정서'는 그것을 숨기기보다 겉으로 드러낼 때 더 강하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런 기사를 읽으면 우리 기업들도 이런 진단을 자주 받아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규모가 큰 기업은 힘들겠지만 중소기업은 이런 진단을 통해 종업원들이 무엇을 고민하는지 무슨 제도를 바라고 있는지 회사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지를 알게 되면 앞으로 정책을 만들어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잘 나가는 회사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종업원들이 회사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감이 높다는 점입니다.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은 종업원들이 원하는 사항을 채워주는 방법입니다. 회사 재정여건이 있으니 규모에 비해 무리하게 복지투자를 할 수는 없겠지만 적은 비용으로도 회사의 비전과 정책, 경영실적을 공유하며 소통을 이루어 나갈 때 성과는 클 것으로 믿습니다.
일전에 근로복지공단 연구용역 회의에서 선진기업복지제도나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임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에서 동 제도를 소개하는 방법이 효율성이 높다는 제안을 했는데 아직 우리나라는 BOTTOM-UP방식 보다는 TOP-DOWN방식이 더 신속하고 잘 먹혀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밑에서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가 좋습니다. 도입하면 좋겠습니다'하는 것보다는 CEO가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가 좋다는데 조사해서 보고해"라고 한마디 지시하는 것이 도입성공율이 더 높습니다.
사내근로복지기금이 도입된 회사와 미도입된 회사,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종업원들의 행복감을 비교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의 유용성을 증명해보이고 알려 동 제도를 확산해보고 싶은 간절한 열망이 있습니다. 꼭 이루어지겠죠?
카페지기 김승훈
반면 40대 여성은 '가장 높은 행복감'을 나타냈는데 40대 여성들은 자녀가 어느정도 성장하여 가사와 육아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조사팀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긍정적 정서표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는데 '긍정적 정서'는 그것을 숨기기보다 겉으로 드러낼 때 더 강하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런 기사를 읽으면 우리 기업들도 이런 진단을 자주 받아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규모가 큰 기업은 힘들겠지만 중소기업은 이런 진단을 통해 종업원들이 무엇을 고민하는지 무슨 제도를 바라고 있는지 회사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지를 알게 되면 앞으로 정책을 만들어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잘 나가는 회사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종업원들이 회사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감이 높다는 점입니다.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은 종업원들이 원하는 사항을 채워주는 방법입니다. 회사 재정여건이 있으니 규모에 비해 무리하게 복지투자를 할 수는 없겠지만 적은 비용으로도 회사의 비전과 정책, 경영실적을 공유하며 소통을 이루어 나갈 때 성과는 클 것으로 믿습니다.
일전에 근로복지공단 연구용역 회의에서 선진기업복지제도나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임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에서 동 제도를 소개하는 방법이 효율성이 높다는 제안을 했는데 아직 우리나라는 BOTTOM-UP방식 보다는 TOP-DOWN방식이 더 신속하고 잘 먹혀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밑에서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가 좋습니다. 도입하면 좋겠습니다'하는 것보다는 CEO가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가 좋다는데 조사해서 보고해"라고 한마디 지시하는 것이 도입성공율이 더 높습니다.
사내근로복지기금이 도입된 회사와 미도입된 회사,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종업원들의 행복감을 비교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의 유용성을 증명해보이고 알려 동 제도를 확산해보고 싶은 간절한 열망이 있습니다. 꼭 이루어지겠죠?
카페지기 김승훈
'김승훈사내근로복지기금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1호(20100820) (0) | 2010.08.20 |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0호(20100819) (0) | 2010.08.19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298호(20100817) (0) | 2010.08.17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297호(20100816) (0) | 2010.08.15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296호(20100813) (0) |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