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부터 <미리 가본 2018년 유엔미래보고서>(박영숙, 제롬 글렌, 테드 고든 지음, 교보문고 간)를 읽고 있습니다. 공감하는 대목이 많습니다. 다음은 책에서 일부 내용을 옮겨와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정부는 전자정부(e-government)를 주장하고 있다. 이제는 e-정부라는 말 대신에 '연결된 정부(connected government)'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전자정부는 모든 것을 하나의 포털사이트에서 실현하는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마샤 로슨 일리노이 시카고대학 그래픽디자인 교수는 <민주주의 디자인>에서 미래정부는 전문디자이너를 써서 정부조직을 디자인할 것을 예측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부와 국민과의 소통, 정부의 신뢰도 향상, 투명성 증가, 국민참여제도 개선이라고 주장했다.
한두사람의 위인이나 독재자보다 수백만명이 한 곳에 집합하여 협력하는 모습이 바로 미래사회의 모습니다. 위키피디아, 유튜브, 온라인대도시, 마이스페이스 등은 개개인들이 노력의 결과로 이룩한 성취물이다. 국가나 대기업의 방해를 극복하고 수많은 개개인들이 세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한 결과다. 그러면서 세상을 바꾸는 방법까지도 바꾸어버렸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는 개개인의 노력을 취합하는 도구가 되었다. 요즘 세계 각국은 국민설득을 위해 국민통합본부를 만들고 있다. 국민통합 없이는 경제성장도 없기 때문이다. 국민설득의 방법도 일방적으로 추진하던 연설 형태가 사라지고 블로그, 홈페이지, 이메일을 통한 '속삭이는 목소리'가 국민을 설득시킨다. 신직접민주주의, 전자민주주의에 익숙한 국민들의 '똑똑한 자아'를 설득하기 위해 국민설득부, 즉 대국민홍보부가 큰 권력을 가진다. 국민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국민이 원하는 바를 바로 정책화하는 적시정책(Just-in-Time Policy)을 만드는 것이 최상이다.
'똑똑한 군중'이 권위를 무시하는 시대에는 국민설득을 위한 대국민통합조직이 필요하다. 왜 이러한 조치가 '지금' 필요한지 국민을 설득하기 위한 설득논리를 개발해야 한다. 그런데 이 논리는 미래예측, 즉 대안제시밖에 없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변화에 저항하는 국민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메가트랜드를 제시하면서, 미래에는 이렇게 변할 것이고 다른 나라는 이렇게 대응하므로 우리도 이렇게 설득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요즘 '소통'이란 단어가 화두인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또한 우리 사내근로복지기금도 많이 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단 사내근로복지기금 뿐만이 아닙니다. 기업복지제도와 기업정책도 사후가 아닌 선제적으로 먼저 변한다면.... 직원들은 똑똑합니다. 똑똑한 직원들이 불편을 이야기하기 전에 불편해 하는 부분을 미리 조사하거나 알아내어 규정을 개정하고 좋은 방향으로 개선을 해준다면 더 큰 직원만족으로 연결될 것입니다.
직원들이 불편하다고 할 때 그것을 해결해주면 만족도는 그대로입니다. 당연한 조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직원들이 원하는것이 무엇인지를 불평하기 전에 파악하여 처리하거나 시의적절한 대안제시를 해준다면 플러스적인 만족 효과가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시대변화를 읽고 대응하는 자(개인 또는 조직) 만이 살아남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카페지기 김승훈
'김승훈사내근로복지기금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5호(20100826) (0) | 2010.08.26 |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4호(20100825) (0) | 2010.08.25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2호(20100823) (0) | 2010.08.23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1호(20100820) (0) | 2010.08.20 |
김승훈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이야기 제1300호(20100819) (0) |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