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8~2009년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1. 베이비붐 세대란?
-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현재 나이 47~55세)로, 6.25 전쟁이 끝난 직후 출산율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지던 시기에 태어나 급격한 경제성장과 1997년 외환위기,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모두 경험함
- 현재 인구의 14.6%를 차지하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됨
2. 베이비붐 세대 학교교육에 대한 견해
-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했다(64.2%) : 전체 평균은 60.1%
-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한 사유 : 경제적 형편(79.2%)- 성장기의 어려운 경제사정 때문에 학업을 포기한 사람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줌
- 성별분석 : 남자(58.8%), 여자(69.5%)
- 자녀의 대학교육비 지원 여부 : 지원해야 한다(99.1%) - 전체 평균(98.6%).
- 자녀의 대학교육비 부모가 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68.5%) - 전체 평균(61.9%)
- 자녀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이 된다고(83.1%) - 30세 이상 가구주 평균(79.8%)
- 자녀 결혼비용까지 지원해야 한다(90.0%)
3.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부모 생활비 부담
-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부모 중 생활비를 스스로 해결하는 이들(30.8%) : 베이비붐 세대의 10명중 7명은 부모 생활비까지 책임지고 있다는 의미
- 생활비 제공방식 : 모든 자녀가 분담하는 경우(33.6%), 장남 또는 맏며느리(18.8%), 아들 또는 며느리(13.9%), 딸 또는 사위(2.4%) 순
-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관계 만족도 : 전체 평균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만족도(62.6%) - 전체평균(65.7%)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만족도(71.7%) - 전체 평균(72.7%)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부모에 대한 만족도(45.9%)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형제.자매에 대한 만족도(39.6%)
- 직업.학업 등 이유로 배우자나 미혼자녀가 다른 지역에 사는 베이비부머 가구주 비중(25.5%) - 전체 가구주(16.5%)보다 높음
-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이 국외에 있는 비율(12.4%)
- 베이비붐 세대의 따로 사는 이유 : 학업(52.4%), 직장(38.2%), 군대(18.6%) 순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80.0%)
- 학별별 : 학력이 높을수록 준비비율이 높아지면서 대졸은 10명 중 9명이 준비하고 있었지만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6명 꼴에 그쳤다.
- 노후준비 방법 : 국민연금(38.5%), 예금.적금(24.3%), 사적연금(19.5%), 기타 공적연금(7.1%) 순
- 노후 대비를 하지 않고 있는 경우(20.0%) - 이 중 능력이 없기 때문(50.3%), 앞으로 준비할 계획(39.8%)는 이라고 했다.
-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자(80.0%) 중 향후 소득수준이 같거나 감소할 것으로 생각(69.5%)- 노후준비가 덜 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
- 향후 가장 필요하거나 늘릴 필요가 있는 복지서비스 : 노인돌봄 서비스(52.6%)
-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65.2%) - 15세 이상 인구 전체(60.4%)보다 더 많았음
- 직장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78.9%) - 15세 이상 전체(77.8%)보다 높았음
-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52.2%) - 15세 이상 전체(47.1%)보다 높았음
- 베이비붐 세대 가구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의식 : '중간층 이상'(61.6%) - 전체 가구주(57.6%)보다 높게 나타났다.
- 베이비붐 세대가 직업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 수입과 안정성(73.8%) - 15세 이상 인구 전체(66.7%)보다 높았다.
5.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 및 건강생활
- 1년에 공연, 전시 및 스포츠를 한 번이라도 관람한 베이비부머(47.8%)
- 지난 1년 동안 사회복지단체 등에 후원금을 낸 사람 : 베이비붐 세대 인구의 40.9% - 15세 인구의 기부 비율(32.3%)보다 높았음
- 베이비부머의 건강관리 : '건강검진을 받는다'(53.9%),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37.2%) -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과 정기 건강검진 비율이 높았다.
-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 충동을 느낀 베이비부머의 비율(7.1%) - 15세이상 전체인구(7.2%)와 비슷했다.
- 자살충동을 느낀 이유 : 경제적 어려움(52.8%), 가정불화(18.0%), 외로움(10.6%) 순 - 경제적 충동을 이유로 꼽은 비율은 15세 이상 인구(36.2%)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여자 베이비부머는 남자보다 가정불화나 외로움에 대한 심적 고통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지기 김승훈
1. 베이비붐 세대란?
-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현재 나이 47~55세)로, 6.25 전쟁이 끝난 직후 출산율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지던 시기에 태어나 급격한 경제성장과 1997년 외환위기,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모두 경험함
- 현재 인구의 14.6%를 차지하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됨
2. 베이비붐 세대 학교교육에 대한 견해
-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했다(64.2%) : 전체 평균은 60.1%
-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을 받지 못한 사유 : 경제적 형편(79.2%)- 성장기의 어려운 경제사정 때문에 학업을 포기한 사람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줌
- 성별분석 : 남자(58.8%), 여자(69.5%)
- 자녀의 대학교육비 지원 여부 : 지원해야 한다(99.1%) - 전체 평균(98.6%).
- 자녀의 대학교육비 부모가 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68.5%) - 전체 평균(61.9%)
- 자녀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이 된다고(83.1%) - 30세 이상 가구주 평균(79.8%)
- 자녀 결혼비용까지 지원해야 한다(90.0%)
3.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부모 생활비 부담
-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부모 중 생활비를 스스로 해결하는 이들(30.8%) : 베이비붐 세대의 10명중 7명은 부모 생활비까지 책임지고 있다는 의미
- 생활비 제공방식 : 모든 자녀가 분담하는 경우(33.6%), 장남 또는 맏며느리(18.8%), 아들 또는 며느리(13.9%), 딸 또는 사위(2.4%) 순
-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관계 만족도 : 전체 평균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만족도(62.6%) - 전체평균(65.7%)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만족도(71.7%) - 전체 평균(72.7%)에 미달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부모에 대한 만족도(45.9%)
- 베이비붐 세대의 배우자 형제.자매에 대한 만족도(39.6%)
- 직업.학업 등 이유로 배우자나 미혼자녀가 다른 지역에 사는 베이비부머 가구주 비중(25.5%) - 전체 가구주(16.5%)보다 높음
-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이 국외에 있는 비율(12.4%)
- 베이비붐 세대의 따로 사는 이유 : 학업(52.4%), 직장(38.2%), 군대(18.6%) 순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80.0%)
- 학별별 : 학력이 높을수록 준비비율이 높아지면서 대졸은 10명 중 9명이 준비하고 있었지만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6명 꼴에 그쳤다.
- 노후준비 방법 : 국민연금(38.5%), 예금.적금(24.3%), 사적연금(19.5%), 기타 공적연금(7.1%) 순
- 노후 대비를 하지 않고 있는 경우(20.0%) - 이 중 능력이 없기 때문(50.3%), 앞으로 준비할 계획(39.8%)는 이라고 했다.
-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자(80.0%) 중 향후 소득수준이 같거나 감소할 것으로 생각(69.5%)- 노후준비가 덜 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
- 향후 가장 필요하거나 늘릴 필요가 있는 복지서비스 : 노인돌봄 서비스(52.6%)
-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65.2%) - 15세 이상 인구 전체(60.4%)보다 더 많았음
- 직장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78.9%) - 15세 이상 전체(77.8%)보다 높았음
-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52.2%) - 15세 이상 전체(47.1%)보다 높았음
- 베이비붐 세대 가구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의식 : '중간층 이상'(61.6%) - 전체 가구주(57.6%)보다 높게 나타났다.
- 베이비붐 세대가 직업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 수입과 안정성(73.8%) - 15세 이상 인구 전체(66.7%)보다 높았다.
5.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 및 건강생활
- 1년에 공연, 전시 및 스포츠를 한 번이라도 관람한 베이비부머(47.8%)
- 지난 1년 동안 사회복지단체 등에 후원금을 낸 사람 : 베이비붐 세대 인구의 40.9% - 15세 인구의 기부 비율(32.3%)보다 높았음
- 베이비부머의 건강관리 : '건강검진을 받는다'(53.9%),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37.2%) -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과 정기 건강검진 비율이 높았다.
-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 충동을 느낀 베이비부머의 비율(7.1%) - 15세이상 전체인구(7.2%)와 비슷했다.
- 자살충동을 느낀 이유 : 경제적 어려움(52.8%), 가정불화(18.0%), 외로움(10.6%) 순 - 경제적 충동을 이유로 꼽은 비율은 15세 이상 인구(36.2%)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여자 베이비부머는 남자보다 가정불화나 외로움에 대한 심적 고통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지기 김승훈
'재테크기사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채널 FC연구소 조준호 대표 "망하는 창업 10계명' (0) | 2010.05.05 |
---|---|
맥세스컨설팅 서민교 대표의 '창업 10계명' (0) | 2010.05.05 |
'닥터둠' 루비니 "더블딥 직전" (0) | 2010.03.27 |
“60억쯤 있어야 부자” (0) | 2010.03.18 |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2010년 억만장자' 순위 (0) | 2010.03.11 |